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goodgut
소화기 건강

건강과 웰빙을 기본 우선순위로 두는 세상에서 우리 몸의 주요 기관 중 하나인 소화기 계통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소화기 건강은 위의 불편함을 피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 몸의 전반적인 웰빙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소화기 계통은 협력하여 몸에서 섭취한 음식물을 분해하고, 필수 영양소를 흡수하며, 흡수하고 남은 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작용을 하는 기관, 조직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복잡한 네트워크입니다.(1) 우리 몸의 기관계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을 때 우리는 활기차고 활력이 넘치며 기분이 좋은 상태입니다. 양호한 소화기 건강 상태는 신체적 편안함뿐만 아니라 정서적 웰빙, 정신 건강 및 심지어 면역 체계에도 중요하다는 사실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습니다.(2~4)

현대의 우리 사회에서 소화기 질환은 매우 흔하며, 설사 및/또는 변비, 가스 참, 배가 가득 차고 부푸는 등 다양한 기능적 증상을 포함합니다.(5) 유럽 소화기학회(UEG)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지역에서 3억 3,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소화 불량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6) 
의심의 여지 없이, 이러한 증상을 가지고 사는 것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일상 활동, 업무, 대인 관계, 정서적 안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7,8)

goodgut health

이러한 맥락에서, 소화관(9)에 상주하는 미생물군을 지칭하는 장내 미생물총이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미생물총과 소화기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빠르게 발전하여 활발하고 꾸준히 확장되고 있는 연구 분야가 되었습니다.

장내 미생물총은 영양소의 소화 및 흡수, 물질대사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비타민과 생체활성 화합물을 생성하고, 병원체에 대한 보호를 통해 면역 체계 조절에 관여합니다.(3,10) 또한, 이는 장-뇌 축을 통해 신경계와 상호작용함으로써 기분, 행동, 뇌-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11)

소화관에 상주하는 이 미생물 군집의 상태가 교란되는 것을 장내마이크로바이옴 불균형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식이요법, 생활방식, 스트레스, 약물 사용(항생제 등) 및 특정 의학적 질환과 같은 다양한 요인 탓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내마이크로바이옴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장내 미생물총의 정상 조성이 파괴되어, 종종 해로운 세균의 과도 증식과 유익한 세균의 감소를 초래합니다.(12,13)

장내마이크로바이옴 불균형의 결과는 소화기 증상 및 소화 불량의 발생과 관련이 있었습니다.(14) 여러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 이상증은 염증성 장 질환(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등),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알레르기, 비만뿐만 아니라 대사 장애, 염증성 질환, 신경 정신 질환 및 자가 면역 질환과 같은 광범위한 비소화기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5~21)

장내 미생물총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은 소화 불량에 대한 접근 방법에 있어 인식 체계의 대전환을 가져왔으며, 어떠한 변화라도 분별할 수 있는 민감한 생체표지자의 저장소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goodgut health

이러한 의미에서, 장내 미생물총은 소화기 건강의 분석 도구로 사용되며, 모든 사람의 소화기 건강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장 건강과 궁극적으로 전반적인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정보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의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전략으로 구상되고 있습니다. 그 구성 및 다양성은 소화기 계통의 상태와 전반적인 건강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제 기술의 발전으로 그 구성과 기능을 추가로 탐색할 수 있게 되었으며, 소화기 건강에서 장내 미생물총의 기본적인 역할과 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점점 더 많이 인식하게 되었습니다.(22~24)

따라서, 장내 미생물총의 관점에서 장내마이크로바이옴 불균형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소화기 계통의 균형을 회복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goodgut

GoodGut은 다양한 소화기 질환의 특정 미생물 시그니처를 정량적 PCR 방법론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세 가지 비침습적 대변 미생물 검사*를 개발했습니다:

  • 장내마이크로바이옴 불균형 진단을 통한 장 건강 예방 및 개선용.
  • 과민성 대장 증후군 양성 진단용.
  • 결장직장암 검출용.

GoodGut은 장내 미생물을 소화기 질환의 예방,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임상 표준으로 도입하고, 혁신적이고 영향력 있는 솔루션을 통해 소화기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현재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goodgut hipra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이러한 검사들은 사전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 Your Digestive System & How it Works [인터넷]. [2024년 5월 24일 인용]. 출처: https://www.niddk.nih.gov/health-information/digestive-diseases/digestive-system-how-it-works
2.    Appleton J. The Gut-Brain Axis: Influence of Microbiota on Mood and Mental Health. Integr Med Encinitas Calif. 2018 Aug;17(4):28–32. 
3.    Hou K, Wu ZX, Chen XY, Wang JQ, Zhang D, Xiao C, et al. Microbiota in health and diseases. Signal Transduct Target Ther. 2022 Apr 23;7(1):135. 
4.    Winter G, Hart RA, Charlesworth RPG, Sharpley CF. Gut microbiome and depression: what we know and what we need to know. Rev Neurosci. 2018 Aug 28;29(6):629–43. 
5.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Common Gastrointestinal (GI) Symptoms [인터넷]. [2024년 5월 24일 인용]. 출처: https://gi.org/topics/common-gi-symptoms/
6.    The Lancet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Tackling the burden of digestive disorders in Europe. Lancet Gastroenterol Hepatol. 2023 Feb;8(2):95. 
7.    Tielemans MM, Jaspers Focks J, Van Rossum LGM, Eikendal T, Jansen JBMJ, Laheij RJF, et al. Gastrointestinal Symptoms are Still Prevalent and Negatively Impac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Large Cross-Sectional Population Based Study in The Netherlands. Baradaran HR, editor. PLoS ONE. 2013 Jul 29;8(7):e69876. 
8.    Black CJ, Drossman DA, Talley NJ, Ruddy J, Ford AC.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dvances in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The Lancet. 2020 Nov;396(10263):1664–74. 
9.    Thursby E, Juge N. Introduction to the human gut microbiota. Biochem J. 2017 Jun 1;474(11):1823–36. 
10.    Jandhyala SM, Talukdar R, Subramanyam C, Vuyyuru H, Sasikala M, Nageshwar Reddy D. Role of the normal gut microbiota. World J Gastroenterol. 2015 Aug 7;21(29):8787–803. 
11.    Morais LH, Schreiber HL, Mazmanian SK. The gut microbiota–brain axis in behaviour and brain disorders. Nat Rev Microbiol. 2021 Apr;19(4):241–55. 
12.    Petersen C, Round JL. Defining dysbiosis and its influence on host immunity and disease. Cell Microbiol. 2014 Jul;16(7):1024–33. 
13.    DeGruttola AK, Low D, Mizoguchi A, Mizoguchi E. Current Understanding of Dysbiosis in Disease in Human and Animal Models. Inflamm Bowel Dis. 2016 May;22(5):1137–50. 
14.    Singh R, Zogg H, Wei L, Bartlett A, Ghoshal UC, Rajender S, et al. Gut Microbial Dysbiosis in the Pathogenesis of Gastrointestinal Dysmotility and Metabolic Disorders.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21 Jan 30;27(1):19–34. 
15.    Sadeghpour Heravi F. Gut Microbiota and Autoimmune Diseases: Mechanisms, Treatment, Challenges, and Future Recommendations. Curr Clin Microbiol Rep. 2024 Jan 16;11(1):18–33. 
16.    Pascal M, Perez-Gordo M, Caballero T, Escribese MM, Lopez Longo MN, Luengo O, et al. Microbiome and Allergic Diseases. Front Immunol. 2018;9:1584. 
17.    Anand N, Gorantla VR, Chidambaram SB. The Role of Gut Dysbiosis in the Pathophysiology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Cells. 2022 Dec 23;12(1):54. 
18.    Bandopadhyay P, Ganguly D. Gut dysbiosis and metabolic diseases. 참고: Progress in Molecular Biology and Translational Science [인터넷]. Elsevier; 2022 [2024년 5월 24일 인용]. p. 153–74. 출처: https://linkinghub.elsevier.com/retrieve/pii/S187711732200093X
19.    Santana PT, Rosas SLB, Ribeiro BE, Marinho Y, de Souza HSP. Dysbiosi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hogenic Role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Int J Mol Sci. 2022 Mar 23;23(7):3464. 
20.    Kim GH, Lee K, Shim JO. Gut Bacterial Dysbiosi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 Case-Control Study and a Cross-Cohort Analysis Using Publicly Available Data Sets. Jacobs JL, editor. Microbiol Spectr. 2023 Feb 14;11(1):e02125-22. 
21.    Breton J, Galmiche M, Déchelotte P. Dysbiotic Gut Bacteria in Obesity: An Overview of the Metabolic Mechanisms and Therapeutic Perspectives of Next-Generation Probiotics. Microorganisms. 2022 Feb 16;10(2):452. 
22.    Guo X, Huang C, Xu J, Xu H, Liu L, Zhao H, et al. Gut Microbiota Is a Potential Biomarker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Front Nutr. 2021;8:818902. 
23.    Zwezerijnen-Jiwa FH, Sivov H, Paizs P, Zafeiropoulou K, Kinross J. A systematic review of microbiome-derived biomarkers for early colorectal cancer detection. Neoplasia N Y N. 2023 Feb;36:100868. 
24.    Manor O, Dai CL, Kornilov SA, Smith B, Price ND, Lovejoy JC, et al. Health and disease markers correlate with gut microbiome composition across thousands of people. Nat Commun. 2020 Oct 15;11(1):5206.